Magic Mouse & TrackPad

 

마우스는 매끈한 비누 형태에 묵직한 느낌으로

한 번 보기만 해도 아름다운 자태에 빠지게 된다.

트랙패드는 옆면의 기울어진 선이 세련되 보인다.

모든 것을 뺀 디자인이 무엇인지 보여준다.


Anecdote

요즘은 조금 덜 한 느낌이 들지만 예전의 애플은 다른회사와는 확연히 차별화된 디자인을 선보였다. 지금은 타업체도 애플을 따라하느라 디자인에 신경을 쓰는 모양새지만 몇년 전까지만 해도 애플디자인은 단순함과 세련됨에서 독보적이었다.

애플은 악세사리의 디자인도 남달랐는데 마우스도 예외가 아니었다. 애플이 만든 아름다운 마우스가 많지만 개인적인 인연이 있는 매직마우스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지금은 사라진 애플포럼에 우연히 들렀다가 애플이 새로운 마우스를 내놓는다는 얘기를 들었고 소문대로 새 마우스가 출시되었는데 그 이름은 "마이티 마우스" 였다.

  Mighty_Mouse
             

애플 마우스들은 솔직히 원버튼이기에 불편했는데 이제야 좌우버튼과 트랙볼이 나오면서 "마이티마우스"라 명명한 것이었다. 원버튼을 고집하던 애플이었기에 여러가지 기능이 있는 마이티마우스에 당연히 관심이 갔다. 하지만 가격이 역시 안드로메다 급이고 출시 이후 나오기 시작한 리뷰를 보니 여러가지 자잘한 문제가 있어 금방 관심이 식었다.

그리고 몇년이 지나자 애플에서 "매직마우스"를 들고 나왔다. 이전의 G4 시리즈 마우스와 같이 세련된 디자인이면서 좌우클릭에 휠기능 까지 있는 말 그대로의 매직마우스였다.

>어떻게 아무 버튼도 없는데 좌우클릭과 스크롤을 구현하는지 호기심이 가는 마우스였고 디자인도 정말 깔끔하게 멋진 모습이었다. 지름신이 오셨지만 역시나 안드로메다 가격으로 인해서 그냥 넘기고 또 몇해가 지났다. 그리고 한동안 이배희 여사님께 이것저것 사오는 와중에 5불정도로 낙찰을 받아 우리집에 와서 자세히 살펴볼 기회가 생겼다.

중국에서 배송되었는데 애플매장에서 보던 매직마우스와는 영 다른 처참한 모습이었다. 상판은 온갖 긁힌 자국이 있고 아귀가 안맞고 한쪽이 벌어져 있는 상태였다. 5불이 날라갔다고 생각하고는 그래도 건전지나 한번 넣어 보자고 생각하고 건전지를 넣었더니 아래에 있는 슬라이드 바가 툭하고 떨어져 나갔다. 2개의 슬라이드 바도 온갖 긁힌 자국에 모양도 약간 찌그러져 있었다.

상태가 많이 안좋았지만 다행히 스위치를 위로 올리니 녹색불이 들어오면서 맥을 찾기 시작했다. 맥과 연결되니 포인터가 움직이는데 오직 클릭밖에 되지 않는다. 매직마우스가 아니라 그냥 원버튼 클릭마우스 였다!

한쪽이 심하게 벌어져 유격이 있었으므로 클릭감도 물론 매우 않좋았다. 그래서 어차피 망가진거 분해나 해보자고 시도를 했다. 분해는 구글신에게 물어 보니 잘 가르쳐 주었는데... 매직마우스는 접착식으로 조립되어 있어서 그냥 접착된 것을 잡아빼는게 다였다. 

그래서 한쪽 유격이 큰 부분부터 살살 힘을 줘가면서 잡아당기니 상판과 하판이 더 크게 벌어지기 시작했다.


           
Magic mouse   상판과 하판 사이로 보니 상판의 필름케이블이 하판에 절반만 접속되어 있었다. 그래서 매직이 없었던 것이다. 매직을 다시 부리려면 다시 연결해야 해서 필름케이블이 연결되게 남겨두면서 상판과 하판을 완전히 분리하려고 했지만 그렇게 마음대로 되는 것이 아니었다. 필름케이블도 완전히 분리된 것이다. 다행히 필름케이블이 찢어지진 않았다. 필름케이블만 소켓에 다시 잘 꽂아 주기만 하면 된다. 하지만 필름케이블 길이가 짧아서 소켓에 다시 꽂는데 무척 애를 먹었다. 필름케이블의 길이가 짧은 이유는 긴 필림케이블을 접어서 접착해 놓았기 때문이다. 접착성분이 남아 있지만 접힌 부분을 잡아 펼치면  펴진다. 그러면 쉽게 소켓에 꽂을 수 있다. 완전히 조립하기 전에 잘 되는지 건전지를 넣고 페어링 시키니 '매직'이 됐다! 터치만으 로 오른쪽 버튼이 인식되고 멀티터치도 잘 된다!
떨어진 슬라이드 바는 접착제로 붙여 조립을 다시하고 건전지를 넣으니 묵직하니 사용감도 좋다.

           
상판의 긁힘이 거슬리긴 했지만 잘 작동하니 기분이 좋았다. 딸도 마음에 들어해서 건전지를 빼고 놀라고 주었다.

벌써 2년이 흘렀다. 이사 후 맥미니가 주역이 되었기에 매직마우스를 찾아 건전지를 넣어주고 스위치를 켜 보았다. 작동이 되지 않는다. 건전지를 빼놓았기에 건전지 누액 문제도 아니다.
이미 세월이 많이 지나서 매직마우스는 건전지가 아닌 충전식으로 바뀌었고, 애플의 최악 사용편의성이라고 놀림받는 신세가 되었다. 매직마우스에 대한 호기심도 사라지고 상판의 긁힘들 때문에 애정도 없다. 수리도 어찌어찌하면 될 것같은데 귀찮다.
그냥 버릴까... Easy Come, Easy Go... 매직마우스를 다시 구한다면 건전지 교환식이 아닌 충전식일 가능성이 높다. 개인적으로 충전식은 소모품이란 생각이 들어서 마지막으로 구글신께 기도 했다. 구글신은 응답하셨다. 온오프 스위치 접촉불량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신다.
  disassemble

           
완전분해까진 안가고 기판과 건전지 박스까지 분해하고선 전원스위치 부분을 꾹꾹 다시 눌러주었다. 앗! 반가운 녹색등이 점멸한다. 이놈은 쓰레기통에서 쓸쓸히 분해될 운명은 아닌가 보다. 전원이 들어오니 어쨌든 다시 살려주어야 하는게 주인의 도리. 아마도 딸애가 집어던져서 전원스위치 부분에서 접속불량이 난 것 같다. 이번에는 좀더 예뻐해 주면서 사용하려 하니 슬라이드바가 자꾸 떨어진다. 접착제로 견고히 붙여서 사용해줄 예정이다.

           
trackpad
  이쯤에서 트랙패드에 얽힌 이야기도 곁들인다. 트랙패드는 신혼여행때 하와이에서 구입했었다. 하지만 이상하게 적응하지 못하고 고이 모셔 놓고 방치하고 있었다. 그러다 한번 상태를 확인해 보려 하니 건전지커버가 안빠지는 게 아닌가! 그래서 동전을 건전지 커버 홈에 끼우고 힘껏 돌리니 동전이 휘어지고 매직트랙패드는 상부 투명프라스틱이 깨지는 대참사가 일어났다. 그때는 너무 당황해서 멍하니 있었지만 바로 쓰레기통으로 버리지 못하고 이사할때 버린 것으로 기억난다. 그런 대참사의 원인은 바로 건전지 누액때문이다! 건전지 누액으로 건전지커버가 흰가루로 꽉 막혀버린것.
전자기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때는 건전지를 반드시 빼놓아야 한다는 값비싼 교훈을 얻었다.
이후 이배희 여사한테서 배송비절약 명목으로 저렴한 가격에 곁다리로 다시 구입했다.

           
하지만 주로 사용하는 기기가 PC이기에 역시나 사용안하고 있다가 이사 후 맥미니를 주로 이용하게 되면서 사용하게 되었다. 트랙패드를 사용하면서 이상하게 불편하였는데 그 이유를 가만히 생각해 보니 손목이 책상과 떨어져 있는 것이다. 즉 그만큼 힘이 더 든다는 것이다. 그래서 손목을 책상에 붙이고 의도적으로 사용해 보니 트랙패드도 사용할 만하다.
 
mouse vs trackpad
 < 어떤게 사용하기 편리한가? >









개인적으로 둘 다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매직마우스는 손가락동작시 의도치 않게 쉽게 클릭이 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것은 마우스 높이가 낮아서 생기는 문제인 듯하고 매직트랙패드는 처음에 손목을 들고 사용해서 쉽게 피로감을 느꼈다. 그리고 탭이 클릭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이 아닌 경우 힘이 들어간다. 물론 기존의 일반마우스를 사용하던 경험때문일지도 모르겠다.
매직마우스와 매직트랙패드는 본인이 사용하기 편한 파지법이 익숙해지면 맥에서 사용하기 유용한 물건이 될 듯하다. 그러면 둘중 어느게 더 사용하기 편할까? 현재로선 익숙한 매직마우스가 사용하기 편한거 같다.

 * PC의 위지윅 웹에디터를 쓰다가 맥용 위지윅 웹에디터를 쓰니 매우 불편했는데 KompoZer로 바꾸니 괜찮다.
             
<- Prev